2011년 1월 11일 화요일

표시와 리스트

 표시와 배치

position

position 속성은 박스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배치 방법을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실제로 표시할 위치에 대해서는 top 속성, bottom 속성, left 속성, right 속성, 으로 지정합니다.

 static 특별하게 배치 방법을 지정하지 않은 일반적인 상태로 지정합니다. 이 값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top 속성, bottom 속성, left 속성, right 속성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relative 일반적인 상태에서 배치되는 위치에서부터 상대 위치로 배치하도록 합니다. 이 다음에 계속되는 박스는 이 박스가 일반적으로 배치되고 있는 경우의 위치에 배치됩니다.
 absolute 이 박스를 포함하는 상위 박스를 기본으로 그 곳에서 거리를 지정하여 배치하도록 합니다. 이 값을 지정하면 일반 배치 방법에서는 독립적이기 때문에 다른 요소의 배치에는 일절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fixed 값으로써 absolute 를 지정한 경우와 같이 배치됩니다. 이 지정으로 표시된 박스는 원도우에서 그 위치에 고정되고, 스크롤하여도 위치가 변하지 않게 됩니다. 출력할 대상에 따라서는 윈도우가 아닌 페이지에 고정됩니다.


top, bottom, left, right

이 속성은 브라우저에 위치시킨 박스모델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top 는 위에서부터의 거리이고 bottom 는 아래서 부터의 거리이고, left 는 왼쪽에서의 거리, right 는 오른쪽으로 부터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z-index

이 속성은 지정된 박스의 겹쳐지는 순서를 계층으로 나타냅니다. 값은 정수값으로 써주시면 되고요.
이해가 가실런지 모르겠네요? 포토샵이나 플래시를 보면 레이어가 나오지요. 바로 그 역활을 하는 겁니다. 그럼위에것을 가지고 예제를 한번 보시지요.
[예] 박스 모델의 위치지정
이 방법은 상당히 요긴하게 쓰이는 것인데 홈페이지에 자기가 원하는 위치에 맘대로 배치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우선 예제를 가지고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h3 { position : absolute ; left : 100px ; top : 100px ; width : 30px ; height : 60px ; z-index : 1 }

제일 앞에 나오는 position 는 절대위치(absolute)와 상대위치(relative)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스타일시트를 공부할 정도면 이 정도는 아시겠지요. ^^; 절대위치는 해상도에 관계없이 항상 같은 위치에 있고 상대위치는 해상도에 따라 변합니다. left 는 좌측으로 부터 100px 되는 위치에 있다는 소리고, top 는 위에서 부터 100px 되는 위치에 있다는 뜻입니다. width 는 박스모델에 있는 요소의 넓이를, height 는 높이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단위로는 "실수값+단위", "%", "auto" 가 있습니다. z-index 는 레이어의 계층구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float

float 속성은 지정된 요소의 박스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배치하고 그 반대편에 계속되는 요소의 내용을 어울림으로 배치하는 속성입니다.

 left 지정한 요소를 왼쪽으로 배치하고 계속되는 내용을 그 오른쪽에 어울림으로 배치합니다.
 right 지정한 요소를 오른쪽으로 배치하고 계속되는 내용을 그 왼쪽에 어울림으로 배치합니다.
 none  좌우배치와 어울림 배치를 하지 않도록 합니다.
[예제]
어때요 그림이 왼쪽에 나오지요?
이 처럼 스타일시트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그림을 배치할 수 있습니다.
[소스]
<img src=images/img29.gif border=0 style="width:100;height:100;float:right;">


clear

clear 속성은 float 속성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에 배치된 박스의 어울림을 해제하는 속성입니다.

 left 왼쪽에 배치된 요소에 대한 어울림을 해제합니다.
 right 오른쪽에 배치된 요소에 대한 어울림을 해제합니다.
 both 오른쪽 또는 왼쪽에 배치된 모든 요소에 대한 어울림을 해제합니다.
 none 어울림 배치를 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overflow

이 속성은 박스안에 있는 내용이 박스의 범위를 넘어서면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visible 박스의 범위를 넘어 표시합니다.
 hidden 박스의 범위를 넘는 부분을 표시하지 않도록 합니다.
 scroll 스크롤바가 생기도록하여 내용을 보도록 설정합니다.
 auto 브라우저에 따라 다릅니다(일반적으로 스크롤 할 수 있게 됩니다).


clip

이 속성은 박스의 보이는 범위를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clip:rect(상단, 오른쪽, 하단, 왼쪽)

박스의 주변에서 안쪽으로 거리를 지정하여 보이는 범위를 설정하며 각 값은 수치에 단위를 붙여 지정합니다. 음수값을 지정하여 보이는 범위를 박스 바깥쪽으로 확장할 수도 있으며 또 거리는 [auto] 도 포함할 수 있고, 그 경우는 박스의 주변과 같은 위치 즉, 0과 같은 의미가 됩니다.
direction

이 속성은 글자의 표기 방향을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ltr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글자방향을 설정합니다.
 rtl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자방향을 설정합니다.



 리스트

list-style-type

이 속성은 리스트 항목의 글머리표 종류를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list-style-type 속성으로 이미지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는 그 이미지가 우선적으로 표시됩니다. list-style-image 속성으로 지정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없고 값이 none 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는 그 속성값이 유효하게 됩니다.

 none 글머리표 없음 disc 검은색 원
 circle 선으로 그려진 원 square 선으로 그려진 사각형
 lower-roman 로마숫자(소문자) upper-roman 로마숫자(대문자)
 lower-greek 그리이스문자(소문자) decimal 일반숫자
 decimal-leading-zero 첫 자라에 0을 붙인 숫자 lower-latin, lower-alpha 알파벳 소문자
 upper-latin, upper-alpha 알파벳 대문자 hebrew 히브리 숫자
 armenian 아르메니아 숫자 georgian 그로지아 숫자
예제결과
<html>
<head>
<style type="text/css"><!--
ul { list-style-type : square; }
--></style>
</head>
<body>
<ul>
<li>현대자동차</li>
<li>기아자동차</li>
<li>대우자동차</li>
<li>쌍용자동차</li>
</ul>
</body>
</html>
  • 현대자동차
  • 기아자동차
  • 대우자동차
  • 쌍용자동차

list-style-image

list-style-image 속성은 리스트 항목의 글머리표로 사용할 이미지를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list-style-type 속성이 동시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 속성으로 지정되어 있는 이미지가 우선적으로 적용됩니다. 하지만, 이 속성으로 지정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list-style-type 속성으로 설정한 종류의 글머리표가 표시됩니다.

 none 글머리표에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습니다.
 url 리스트 항목의 글머리표로 사용할 이미지의 url 를 지정합니다.
예제결과
<html>
<head>
<style type="text/css"><!--
ul { list-style-image : url(images/bitimg24.gif); }
--></style>
</head>
<body>
<ul>
<li>현대자동차</li>
<li>기아자동차</li>
<li>대우자동차</li>
<li>쌍용자동차</li>
</ul>
</body>
</html>
  •   현대자동차
  •   기아자동차
  •   대우자동차
  •   쌍용자동차

list-style-position 이 속성은 리스트 항목의 박스에 대한 글머리표의 위치를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outside 글머리표를 리스트 항목의 박스 바깥쪽에 배치합니다.
 inside 글머리표를 리스트 항목의 박스 안쪽에 배치합니다.


list-style

list-style 속성은 리스트에 관한 속성을 한꺼번에 설정할 수 있는 속성으로 필요한 값을 순서대로 공백으로 구별하여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 body { list-style : url("이미지의 경로와 이름") disc inside

설명을 드리자면 url 에 지정된 이미지를 리스트의 글머리표로 사용한다는 뜻으로 박스의 안쪽에 배치시키겠다는 소리입니다. 만약 이미지가 연결이 안될 경우에는 리스트 타입으로 지정된 disc(검은색 원) 으로 표시됩니다.

예제결과
<html>
<head>
<style type="text/css"><!--
ul { list-style : url(../image/face/bitimg57.gif) disc outside; }
--></style>
</head>
<body>
<ul>
<li>3가지 속성을 한꺼번에 지정할 수 있습니다.</li>
<li>list-style-type 값은 이미지를 표현할 수 없을때 씁니다.</li>
<li>list-style-position 값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li>
<li>한꺼번에 지정하니 편하지요.</li>
</ul>
</body>
</html>
  •   3가지 속성을 한꺼번에 지정할 수 있습니다.
  •   list-style-type 값은 이미지를 표현할 수 없을때 씁니다.
  •   list-style-position 값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한꺼번에 지정하니 편하지요.


maker-offset maker-offset 속성은 글머리표와 리스트 항목과의 간격을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