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스모델 (1) |
margin
이 속성은 상하좌우 여백을 설정하는 요소입니다. margin-top, margin-bottom, margin-left, margin-right 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margin 속성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자 그럼 종류를 한번 볼까요.
margin-top | 위쪽여백 | margin-bottom | 아래쪽 여백 |
margin-left | 왼쪽여백 | margin-right | 오른쪽 여백 |
margin | margin 속성은 상하좌우의 각 여백을 한 번에 지정할 수 있는 속성입니다. 값은 공백으로 구별하여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지만, 지정한 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값이 1개 : 상하좌우 모두 해당
값이 2개 : 값1(상하), 값2(좌우)
값이 3개 : 값1(상), 값2(좌우), 값3(하)
값이 4개 : 값1(상), 값2(우), 값3(하), 값4(좌) |
padding
여기는 패딩을 지정하는 속성입니다. 패딩이 뭔지는 아시지요. html 할때 배워는데~~ ^^; 글자를 둘러싸고 있는 박스와 글자와의 거리를 나타내는 겂니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padding-top, padding-bottom, padding-left, padding-right 속성을 가지고 각각 지정할 수도 있고 margin 속성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자 한번 종류를 보시지요.
padding-top | 위쪽 | padding-bottom | 아래쪽 |
padding-left | 왼쪽 | padding-right | 오른쪽 |
padding | margin 속성은 상하좌우의 각각의 패팅값을 한 번에 지정할 수 있는 속성입니다. 값은 공백으로 구별하여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지만, 지정한 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값이 1개 : 상하좌우 모두 해당
값이 2개 : 값1(상하), 값2(좌우)
값이 3개 : 값1(상), 값2(좌우), 값3(하)
값이 4개 : 값1(상), 값2(우), 값3(하), 값4(좌) |
border-color
외곽선의 색을 하나씩 따로따로 지정할 수도 있고 border 속성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border-top-color | 위쪽 | border-bottom-color | 아래쪽 |
border-left-color | 왼쪽 | border-right-color | 오른쪽 |
border-color | border-color 속성은 상하좌우의 각각의 값을 한 번에 지정할 수 있는 속성입니다. 값은 공백으로 구별하여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지만, 지정한 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값이 1개 : 상하좌우 모두 해당
값이 2개 : 값1(상하), 값2(좌우)
값이 3개 : 값1(상), 값2(좌우), 값3(하)
값이 4개 : 값1(상), 값2(우), 값3(하), 값4(좌) |
border-width
외곽선의 굵기를 하나씩 따로따로 지정할 수도 있고 border-width 속성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각각의 외곽선의 굵기는 thin(가는 외곽선), medium(중간 외곽선), thick(굵은 외곽선) 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표시되는 외곽선의 굵기는 브라우저에 따라 다르게 보입니다.
border-top-width | 위쪽 | border-bottom-width | 아래쪽 |
border-left-width | 왼쪽 | border-right-width | 오른쪽 |
border-width | border-width 속성은 상하좌우의 각각의 값을 한 번에 지정할 수 있는 속성입니다. 값은 공백으로 구별하여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지만, 지정한 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값이 1개 : 상하좌우 모두 해당
값이 2개 : 값1(상하), 값2(좌우)
값이 3개 : 값1(상), 값2(좌우), 값3(하)
값이 4개 : 값1(상), 값2(우), 값3(하), 값4(좌) |
border-style
외곽선의 형식을 지정하는 속성입니다. 각각 개별적으로 지정할 수도 있고, border-style 속성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외과선 형식의 초기값은 [none]이기 때문에 [hidden]을 제외한 다른 형식을 지정하기 전에는 외곽선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아래의 외곽선의 형식을 잘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요긴하게 써먹을 때가 있을 겁니다. ^^;
border-top-style | 위쪽 | border-bottom-style | 아래쪽 |
border-left-style | 왼쪽 | border-right-style | 오른쪽 |
border-style | border-style 속성은 상하좌우의 각각의 값을 한 번에 지정할 수 있는 속성입니다. 값은 공백으로 구별하여 여러 개를 지정할 수 있지만, 지정한 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값이 1개 : 상하좌우 모두 해당
값이 2개 : 값1(상하), 값2(좌우)
값이 3개 : 값1(상), 값2(좌우), 값3(하)
값이 4개 : 값1(상), 값2(우), 값3(하), 값4(좌) |
박스모델 (2) |
자 그럼 전 장에 이어서 border-style 의 외곽선의 형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none | 외곽선을 표시하지 않으며 굵기도 0으로 설정됩니다. 표의 셀에 외곽선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다른값이 우선됩니다. |
hidden | 외곽선을 표시하지 않으며 굵기도 0으로 설정됩니다. 표의 셀에 외곽선이 중복되는 경우에는 이 값이 가장 우선됩니다. |
solid | 선으로 표시됩니다. |
double | 두 줄의 외곽선으로 표시합니다. |
groove | 외곽선이 들어가 보이도록 입체적으로 표시합니다. |
ridge | 외곽선이 돌출되어 보이도록 입체적으로 표시합니다. |
inset | 외곽선의 안쪽 전체가 들어가 보이도록 입체적으로 표시합니다. |
outset | 외곽선의 안쪽 전체가 돌출되어 보이도록 입체적으로 표시합니다. |
dashed | 외곽선을 긴 점선으로 표시합니다.(익스플로러에서는 잘 안될걸요~~) |
dotted | 외곽선을 점선으로 표시합니다.(역시 익스플로러에서는 좀 힘들어 ^^;) |
알림 : 아래의 외곽선 모양은 포토샵으로 작업해서 이미지로 올린것입니다. 왜냐하면 익스플로러 5.0 이하 버전에서는 보이지가 않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모양을 일부러 크게 했는데 그 이유는 직관적으로 이런 모양이 되는 것을 알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예제]
{margin:10px;border-color:green;border-width:0.6em;border-style:solid}
{margin:10px;border-color:green;border-width:0.6em;border-style:double} |
 |
{margin:10px;border-color:#ffccff;border-width:0.6em;border-style:groove}
{margin:10px;border-color:#ffccff;border-width:0.6em;border-style:ridge}
{margin:10px;border-color:#ffccff;border-width:0.6em;border-style:inset} |
 |
{margin:10px;border-color:#ffccff;border-width:0.6em;border-style:outset}
{margin:10px;border-color:green;border-width:0.6em;border-style:dashed}
{margin:10px;border-color:green;border-width:0.6em;border-style:dotted} |
 |
border
자 이번에는 앞에서 배웠던 외곽선에 대하여 각각의 색, 굵기, 형식을 한 번에 설정하는 속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order-top | 위쪽의 외곽선의 색, 굵기, 형식을 한번에 설정할수 있습니다. 필요한 값을 임의의 순서로 공백으로 구별하여 지정할 수 있지만, 여기에서 지정되지 않은 값은 초기값이 채택됩니다. |
border-bottom | 아래쪽도 동일합니다. |
border-left | 왼쪽도 마찬가지 입니다. |
border-right | 오른쪽도 똑 같습니다. |
border | border 속성은 상하좌우 외곽선에 대해서 같은 색, 굵기, 형식을 한 번에 설정하는 속성으로써 상하좌우에 대해서 개별적인 설정을 할 수 없습니다. 필요한 값을 임의의 순서로 공백으로 구별하여 지정합니다.
값이 1개 : 상하좌우 모두 해당
값이 2개 : 값1(상하), 값2(좌우)
값이 3개 : 값1(상), 값2(좌우), 값3(하)
값이 4개 : 값1(상), 값2(우), 값3(하), 값4(좌) |
[예제]
<html>
<head>
<style type="text/css"><!--
h1 { text-align:center; border-bottom:solid 2px #ff9900; }
p.sample1{text-align:center;margin:1em 20px;padding:2em;border:solid 12px green;font-size:20px}
p.sample2{text-align:left;margin:1em 2em 3em 2em;padding:1em;border:double 10px red;font-size:18px}
--></style>
</head>
<body background=../../image/background/abg04.gif>
<h1>예제 샘플 1</h1>
<p class=sample1>여기는 예제 소스 1입니다
여기는 송파나루터입니다.(www.studyho.com) </p>
<h1>예제 샘플 2</h1>
<p class=sample2>여기는 예제 소스 2입니다
여기는 html 과 스타일시트를 공부하는 곳입니다.</p>
</body>
</html>
|
[설명]
h1 태그 사이에 들어가있는 것은 글자를 가운데 정렬하고, 박스 아래쪽만 border-bottom 속성을 이용하여 한번에 지정했습니다. 박스 스타일을 선으로 지정하고, 두께는 2px 로, 색깔은 #ff9900 으로 지정했습니다.
sample1 에서는 글자를 가운데 정렬하고, 박스의 여백을 위와 아래에 1em 를 지정하고 좌우를 20px 로 지정했습니다. 그리고 글자와 박스의 간격를 2em 으로 지정하고 border 속성을 이용하여 박스의 스타일을 선으로, 두께를 12px 로, 색깔을 녹색으로 지정했습니다. 박스 안의 글자는 20px 이구요.
sample2 에서는 글자를 왼쪽정렬하고 박스의 여백를 위 1em, 우측을 2em, 아래를 3em, 좌측을 2em 으로 지정했습니다. 박스와 글자의 간격은 1 em 으로 지정하고 박스의 스타일은 double 로, 두께는 10px 로, 박스의 색깔은 빨간색으로 지정하고 글자 내부의 크기는 18px로 지정했습니다. |
|
|
배경 |
color
color 속성은 요소 내의 문자색을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문자색만 설정하면 사용자가 독자적인 스타일시트에서 배경색을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 그 색과의 조합에 따라 문자를 알아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피하기 위해서 문자색을 지정하는 경우에는 배경도 함께 지정해 둘 수 있습니다.
background-color
background-color 속성은 요소의 배경색을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여기에서 설정한 값은 박스의 내용과 패딩 부분에 여백 부분은 항상 투명하게 됩니다.
background-image
배경이미지의 url 를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none 는 배경이미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표시합니다.
형식은 background-image : url("배경이미지 경로") 형태로 씁니다.
background-repeat
이 속성은 배경이미지가 지정되어있는 경우에 이미지의 정렬을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repeat | 배경 이미지를 바둑판식 배열로 정렬을 합니다. |
repeat-x | 배경 이미지를 가로 방향으로 반복해서 정렬을 합니다. |
repeat-y | 배경 이미지를 세로 방향으로 반복해서 정렬을 합니다. |
no-repeat | 배경 이미지를 반복되지 않고 한 번만 표시합니다. |
|
background-position
이 속성은 배경이미지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그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실수값 + 단위
가로와 세로의 위치를 순서대로 공백으로 구별하여 숫자값으로 지정합니다. 값을 한 개만 지정한 경우에는 가로 방향의 위치를 지정한 것이고 세로 방향은 50%로 설정됩니다. |
%
가로와 세로의 위치를 순서대로 공백으로 구별하여 비율로 지정합니다. 값을 한 개만 지정한 경우에는 역시 가로 방향의 위치를 지정한 것이고 세로 방향은 50%로 설정됩니다.
[예]
background-position:30% 70% (왼쪽에서 30%, 위에서 70%지점에 이미지 고정합니다) |
left, center, right, top, center, bottom
가로와 세로의 위치를 공백으로 구별하여 키워드를 지정하며 이 경우에는 순서에 상관이 없습니다.
[예]
background-position:right bottom (오른쪽과 아래에 이미지를 고정합니다)
background-position:center top (가운데 위쪽에 이미지를 고정합니다) |
background-attachment
이 속성은 배경이미지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그 이미지를(윈도우에 대하여) 그 위치에 고정되게 할 것인지, 스크롤에 따라서 내용도 함께 이동시킬것인지를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fixed | 배경 이미지의 위치를 고정시킵니다. |
scroll | 배경 미미지를 다른 내용과 함께 스크롤하도록 합니다. |
|
[소스]
<html>
<head>
<style type="text/css">
body { color:black;
background-image:url("../../image/background/bg21.gif");
background-repeat:no-repeat;
background-attachment:fixed;
margin-top:100px;
text-align:right}
p{line-height:2em}
</style>
</head>
<body>
내용생략: 아래 [예제보기]를 누르시면 자세한 내용이 있습니다.
</body>
</html> |
[결과]
|
background
배경에 관련 속성을 일괄적으로 한 번에 설정할 수 있는 속성이며 필요한 값을 임의의 순서로 공백으로 구별하여 지정합니다.
[예]
<style type="text/css">
<!--
body { background:white url("이미지의 경로와 이름") center repeat-y; }
-->
</style> |
(설명을 하자면 배경색은 파란색으로 지정을 하고, 그 다음에는 배경이미지의 경로를 적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배경이미지를 중앙에 정렬을 시키고 나서 y축(위아래)로 반복해서 그림이 나오게 한것입니다.
|
[소스]
<html>
<head>
<style type="text/css">
body {background:blue url("../images/woman.jpg") center repeat-y}
</style>
</head>
<body>
</body>
</html> |
|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