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월 11일 화요일

테이블과 커서

 테이블

border-collaspe
border-collaspe 속성은 셀 외곽선의 표시 형식을 설정하는 속성으로 인접한 외곽선들을 중복하여 표시하는 형식과 간격을 두고 각각 표시하는 형식이 있습니다.
 collapse 테이블 전체의 주변 외곽선이나 각 셀의 외곽선을 그 경계에 중복하여 표시합니다. 너비나 형식이 다른 외곽선이 중복된 경우 표시되는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border-style 속성값이 hidden 으로 설정되어 있는 외곽선이 있으면 그것이 최우선이 되고 다음에 다른것 보다 넓은 외곽선이 있으면 그것이 표시됩니다.
☞ 너비가 같은 경우에는 그 형식이 double, solid, dashed, dotted, ridge, outset, groove, inset 순서로 표시됩니다.
☞ 색만 다른 경우에는 셀, 가로열, 가로열 그룹, 세로열, 세로열 그룹, 테이블 순서로 표시됩니다.
 separate 테이블 전체의 주변 외곽선과 각 셀의 외곽선을 각각 표시합니다. 가로열, 가로열 그룹, 세로열, 세로열 그룹에 대해서는 외곽선 표시되지 않으며 table 요소에 대해서 배경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셀의 외곽선과 외곽선 사이의 공간 부분에 적용됩니다.
[예][소스]



<html>
<head>
<style type="text/css"><!--
table {border: solid 4px #000000; margin-bottom:20px}
table#sample1 { border-collapse:collapse }
table#sample2 { border-collapse:separate }
th,td { border:solid 2px #000000; padding:1em }
caption { color:#ff6600; background-color:#fffff; font-size:large}
--></style>
</head>
<body>
<table id=sample1>
<caption>collapse</caption>
<tr><th>th</th><th>th</th></tr>
<tr><td>td</td><td>td</td></tr>
</table>
<table id=sample2>
<caption>separate</caption> <tr><th>th</th><th>th</th></tr>
<tr><td>td</td><td>td</td></tr>
</table>
</body>
</html>

border-spacing

border-spacing 속성은 border-collapse 속성값이 [seperate]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인접하는 각 셀의 외곽선과 외곽선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값은 공백으로 구별하여 2개를 지정할 수도 있지만 지정한 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적용됩니다.

 값이 1개인 경우 값1(상하좌우 간격)
 값이 2개인 경우 값1(좌우 간격) 값2(상하 간격)
[예][소스]



<html>
<head>
<style type="text/css"><!--
table{border:solid 4px #ff6600 separate; border-collapse:separate; border-spacing:15px}
th,td{border:solid 2px #ff6600 ; padding:1em}
--></style>
</head>
<body>
<table>
<tr><th>th</th><th>th</th></tr>
<tr><td>td</td><td>td</td></tr>
</table>
</body>
</html>

empty-cells

이 속성은 border-collapsed 속성값이 [seperate]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빈 셀의 외곽선을 표시잘 할지를 설정하는 속성이니다.

 show 빈 셀에 대해서도 보통 셀과 같은 외곽선을 표시합니다.
 hide 빈 셀에 대해서는 외곽선을 표시하지 않습니다.
[예][소스]



<html>
<head>
<style type="text/css"><!--
table { border:solid 5px #000000; border-collapse: separate; border-spacing:6px}
th,td { border:solid 2px #000000; padding:1em}
.hide { empty-cells:hide}
.show { empty-cells:show; border-color:#ff6600}
--&gtt;</style>
</head>
<body>
<table>
<tr> <th>hide</th> <th class=hide></th> </tr>
<tr> <td class=show>.</td> <td>show</td> </tr>
</table>
</body>
</html>


caption-side

이 속성은 표의 캡션 위치를 설정하는 속성입니다. 태그 아시지요. <caption> 는 html 태그에서 나오는 표의 제목을 달아주는 태그입니다. ^^;

 top 캡션을 테이블 위에 표시합니다.
 bottom 캡션을 테이블 아래에 표시합니다.
 left 캡션을 테이블 왼쪽에 표시합니다.
 right 캡션을 테이블 오른쪽에 표시합니다.


 커서(cursor)
이 번에는 CSS 에서 사용하는 커서의 속성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가끔 홈페이지를 돌아 다니다보면 클릭하기전에 커서 모양이 변하는 것을 본적이 있을겁니다. 자신도 그렇게 만들고 싶었으나 방법을 모르셨나요? 지금 부터 커서의 모양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 공부하도록 해 보겠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에 나와있는 소스처럼 img 태그안에 커서의 스타일 속성을 넣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물론 링크하고 싶다면 img 태그 앞에다가 a 태그만 써 주시면 됩니다.
아래에 있는 꽃 이미지에 마우스커서를 올려 놓아 보면 커서가 각각 적용한 스타일로 변할 것입니다.
속성crosshair
모양십자가 모양(+)으로 커서가 바뀝니다.
예제보기아래의 꽃위에다가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커서의 모양이 바뀝니다.
소스<img src=images/flower.gif border=0 style=cursor:crosshair>


속성text
모양일자 모양(워드 작업할때와 같은모양)으로 커서가 바뀝니다.
예제보기아래의 꽃위에다가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커서의 모양이 변합니다.
소스<img src=images/flower.gif border=0 style=cursor:text>


속성wait
모양모래시계 모양(데이타 읽고 있을 때의 모양)으로 커서가 바뀝니다.
예제보기아래의 꽃위에다가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커서의 모양이 변합니다.
소스<img src=images/flower.gif border=0 style=cursor:wait>


속성help
모양커서에 물음표(?)가 생긴모양으로 변합니다.
예제보기아래의 꽃위에다가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커서의 모양이 바뀝니다.
소스<img src=images/flower.gif border=0 style=cursor:help>


속성move
모양이동 모양으로 커사가 바뀝니다.
예제보기아래의 꽃위에다가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커서의 모양이 변합니다.
소스<img src=images/flower.gif border=0 style=cursor:move>


속성e-resize / ne-resize / nw-resize / n-resize / se-resize / sw-resize / s-resize / w-resize
모양커서가 동서남북을 가리키는 화살표 모양으로 바뀝니다.
예제보기아래의 꽃위에다가 마우스를 올려 놓으면 커서의 모양이 변합니다.

[e-resize] 동쪽 방향[ne-size] 북동쪽 방향
[nw-resize] 북서쪽 방향[n-size] 북쪽 방향
[se-resize] 남동쪽 방향[sw-size] 남서쪽 방향
[s-resize] 남쪽 방향[w-size] 서쪽 방향
소스<img src=images/flower.gif border=0 style=cursor:e-resize>
8개의 방향을 하나 하나 넣어 보시면서 확인해 보십시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