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인터넷 문서의 일반적인 형식은 html 이지만, 문서를 자유롭게 편집하는 데는 많은 제약이 따릅니다. 이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 스타일 시트입니다. 스타일 시트는 html 을 전제로 그것에 적합하도록 제작되었기 때문에 html 을 제작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조금만 시간을 투자하면 금방 배워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 보기에는 낯설어 보이지만 금방 익숙해 지리라 생각합니다. 현재 css가 폭넓게 사용되지 않는 이유는 넷스케이프와 익스플로러가 스타일 시트를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은 인터넷 문서의 표준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저의 홈에서는 홈페이지 제작에 많이 사용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을 할까 합니다. html 에서도 그랬듯이 스타일 시트의 종류는 무한정 많습니다. 그것을 다 알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합니다. 그러나 걱정하지 마십시요. 그것을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자 그럼 홈페이지 제작에 꼭 필요한 것을 위주로 집중 강의를 시작 하겠습니다. | |
![]() | |
| |
![]() | |
select 란 스타일을 적용할 대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스탕일을 [ { ] 와 [ } ] 사이에 [ 속성 : 값 ] 의 형식으로 지정하며 이 때, 속성값의 앞 뒤에는 자유롭게 빈칸을 둘 수 있습니다. 또 속성값을 [ ; ] 로 구별하여 여러 개 지정할 수 있습니다. selector { 속성 : 값 } 예) hr { font-size : 10pt } 그리고 다음과 같이 같이 여러 개의 select 를 [ ; ] 로 구별하여 지정하면 여러 select 에 대해서 한 번에 같은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selector { 속성 : 값 ; 속성 : 값 ; 속성 : 값 ; . . . } selector { 속성 : 값 ; 속성 : 값 ; 속성 : 값 ; 속성 : 값 ; . . . } 또한 여러개의 selector 가 하나의 속성을 가지게 되면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selector 와 selector 사이에는 반드시 [,] 를 넣어야 합니다. selector,selector,selector,. . . { 속성 : 값 } |
2011년 1월 11일 화요일
CSS 강좌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